비아(VIA)코인
총 발행량: 약 2천3백만 개
현재 시가총액(18/05/14): 약 512억 원
현재가: 약 2200~2300원
공식 홈페이지: https://viacoin.org/
공식 텔레그램: https://telegram.me/viacoin
비아코인(VIA)은 비트코인 프로토콜에서 분리되어 2014년도에 만들어진 암호화폐입니다.
따라서 비트코인처럼 채굴기로 채굴을 할 수 있는 POW 시스템의 블록체인으로
비아코인의 기본 정보를 살펴보면,
24초주기의 블록생성시간을 가지며 175TPS(초당 트랜잭션 처리량)의 성능을 가진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.
비아코인의 특징으로 아토믹스왑을 지원하여
거래소를 이용하지 않아도 다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들과 교환을 할 수 있습니다.
또한 세그윗(Segwit-Segregated Witness)이 활성화되어 있어
트랜잭션 크기도 줄이고 블록별 트랜잭션 처리량을 2~3배 정도 늘리며
다른 새로운 노드에 블록 동기화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.
그리고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곧 적용할 계획으로
라이트닝 네트워크가 적용되면 막대한 양의 트랜잭션을 원활하게 처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
2018년 비아코인(VIA)의 로드맵은 아래와 같습니다.
출처:https://medium.com/@viacoin/viacoin-roadmap-2018-f17be64ff1fd
라이트닝 네트워크 지원은 대략 90퍼센트 정도 진행된 것으로 나타나고,
자바(JAVA)언어로 된 ViacoinJ 라이브러리를 제공할 계획입니다(40퍼센트 진행 중).
아무래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인 자바 언어이기 때문에
프로그래머들이 새로운 언어를 습득하는데 드는 비용을 줄이고
비아코인 프로토콜을 적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.
또 하나, Styx라는 강력한 익명성을 지닌 결제 허브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습니다(30퍼센트 진행 중).
아토믹 스왑으로 비아코인과 다른 코인을 교환할 때 익명성을 지녀서
개인정보는 완전히 가려진 채 이루어지는 지불 방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.
단발적인 큰 호재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분은 아무래도 비아코인이 새 거래소에 상장되는 이슈로,
로드맵에 직접 새 거래소 상장 진행 중이라고 표기한 것을 보면
추가적으로 다른 거래소에 상장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.
아래는 현재 비아코인 상장 거래소 리스트입니다.(출처:https://coinmarketcap.com/)
시가총액이 크지 않는 만큼 아직은 많은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지 않아
추가로 메이저 거래소에 상장될 경우 큰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
'암호화폐(가상화폐) > 암호화폐 전망 및 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에이드코인(AID) 전망 및 분석 (0) | 2018.05.18 |
---|---|
왁스(WAX)코인 전망 및 분석 (0) | 2018.05.16 |
에토스(ETHOS)코인 가격 및 전망 (0) | 2018.05.10 |
eosDAC 코인 분석 및 전망 (0) | 2018.05.09 |
베이직어텐션토큰(BAT)분석 및 전망 (0) | 2018.05.08 |